TRAVLE
Travel
주변 여행지
통영 하이맘 키즈 풀빌라 펜션 블랙 근처의 관광지 정보를 확인해보세요.
거리 : 펜션에서 차량으로 약 18분, 10.5km
동피랑벽화마을
통영시 태평동과 동호동 경계언덕에 자리 잡은 한국의 몽마르트르 언덕이라 불리는 자그마한 마을 동피랑은 통영 서민들의 삶과 애환이 그대로 녹아 있는 달동네이다. 강구안의 언덕배기에 위치하고 있기에 비탈진 골목마다 작은 집들이 미로처럼 얽혀 있는 곳이지만, 서울과 다른 점이 있다면 이곳에서는 아기자기하게 그려진 벽화들이 마을 입구에서부터 먼저 사람을 맞이한다는 것이다.

(자료출처 : 대한민국 구석구석 - korean.visitkorea.or.kr)
거리 : 펜션에서 차량으로 약 20분, 10.9km
남망산조각공원
세계 10개국 유명조각가 15명의 작품으로 1997년에 조성된 남망산 조각공원은 5,000여 평의 부지에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배경으로 개성있는 작품세계를 선보이고 있다. 이곳에서 느낄 수 있는 예술적 자극과 상상력, 넓고 확 트인 공간이 주는 시원함이란 몸과 마음의 피로를 풀기에 충분하다.

(자료출처 : 대한민국 구석구석 - korean.visitkorea.or.kr)
거리 : 펜션에서 차량으로 약 19분, 10.8km
강구안
강구안은 육지로 바다가 들어온 항구로, 강구안 바다는 다른 항구보다 상쾌하고 활기차다. 푸른 바닷물이 넘실대며 바다가 통째로 흔들리는 느낌이다. 그 위에 고깃배가 어깨를 나란히 하고 줄을 지어 정박해 있다. 또 항구 앞에는 유명한 충무김밥을 파는 식당이 줄을 지었다.풀무와 화덕이 있는 공작소에서는 옛날식으로 쇠를 다루어 각종 연장을 만들어 내며, 중앙시장은 수산물은 물론 공산품까지 없는 게 없다.

(자료출처 : 대한민국 구석구석 - korean.visitkorea.or.kr)
거리 : 펜션에서 차량으로 약 28분, 13.8km
해저터널
통영해저터널은 통영과 미륵도를 연결하기 위해 건설된 해저터널이다. 1931년부터 1932년까지 1년 4개월에 걸쳐 만들어진 동양 최초의 바다 밑 터널로 길이 483m, 너비 5m, 높이 3.5m이다. 그 전의 미륵도는 밀물 때는 섬이 되고, 썰물때는 도보로 왕래할 수 있었다. 일제강점기에 일본 어민의 이주가 늘면서 이동을 편하게 하기 위하여 해저터널을 만들게 된 것이다.

(자료출처 : 대한민국 구석구석 - korean.visitkorea.or.kr)
거리 : 펜션에서 차량으로 약 31분, 15.5km
한려수도조망케이블카
우리나라 100대 명산인 미륵산에 설치된 한려수도 조망 케이블카는 국내 최초 자동순환식 bi-cable 형식, 국내 최장의 관광용 케이블카이다. 평균속도 1초당 4m로 상부역사까지 약 9분이 소요될 예정이며 승객용 곤돌라 47기, 화물용 1기 등 48개의 곤돌라가 순환하게 된다.

(자료출처 : 대한민국 구석구석 - korean.visitkorea.or.kr)
거리 : 펜션에서 차량으로 약 21분, 11.2km
이순신공원
이순신공원(구, 한산대첩기념공원)은 통영시의 대표적인 성지로, 1592년 8월 14일 조선 수군과 일본 수군이 해상주도권을 다툰 해전에서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이끄는 조선 수군이 일본 수군을 대파함으로써 해상주도권을 장악하여 식량보급로를 확보하고 수륙병진작전을 전개하려던 일본 수군의 전의를 상실케한 임란의 최대승첩지인 이곳이다.

(자료출처 : 대한민국 구석구석 - korean.visitkorea.or.kr)
거리 : 펜션에서 차량으로 약 46분, 22km
미륵산
통영시 남쪽, 미륵도 중앙에 우뚝 솟은 위풍당당한 산이 미륵산(458.4m)이다. 미륵산을 용화산(龍華山)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이 산에 고찰 용화사가 있어 그렇게 부른다고도 하고, 또 이 산은 미륵존불(彌勒尊佛)이 당래(當來)에 강림하실 용화회상(龍華會上)이라 해서 미륵산과 용화산을 함께 쓴다고도 한다.

(자료출처 : 대한민국 구석구석 - korean.visitkorea.or.kr)
거리 : 펜션에서 차량으로 약 20분, 10.9km
충렬사
통영 충렬사(統營 忠烈祠)는 경상남도 통영시 여황로 251 (명정동)에 있는 이순신(李舜臣) 장군의 사우(祠宇)이다. 조선 시대의 건물로 이충무공의 위업을 기리기 위해 위패를 모셔 두었다. 1973년 6월 11일 사적 제236호로 지정되었다. 1606년(선조 39) 왕명을 받아 이운룡(李雲龍)이 건립하였고, 1663년(현종 4년) 사액(賜額)되었다.

(자료출처 : 대한민국 구석구석 - korean.visitkorea.or.kr)
TOP
실시간 예약창